본문 바로가기

무료 서식

현금 보관증 작성법 및 서식 예제

[무료 서식] 현금 보관증

돈을 빌려주면서 현금보관증을 작성하지 않았다면 그것은 돈을 빌려준 사람에게 불이익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는 대한법률구조공단의 법률상담사례 중 일부입니다. 차용증이나 현금보관증 등, 증거서면이 왜 필요한지를 명확하게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우리 민법은 계약에 있어 어떠한 특정 방식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즉 구두  합의로도 충분히 계약이 성립되는 것이므로 금전의 대여, 즉 금전소비대차에서도 차용증이나 현금보관증의 작성이 없더라도 법이론상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법 현실에 있어서는 위와 같은 구두 합의가 있었는지, 또 그 합의의 내용이 어떠한 것이었는지에 관하여는, 재판상 원고 즉 돈을 청구하는 사람이 증명을 하여야 하는 것이기에 당사자들 사이에 그 계약의 내용에 관하여 분쟁이 발생하게 되면 차용증 등 증거서면이 없이는 승소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보시다시피 현금보관증에는 특별히 정해진 양식은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금전을 보관하는 취지를 적고 돈을 빌려준 사람이 요구하면 언제라도 곧 빌린 돈의 전액을 반환해 주어야 한다는 약정 사항을 기재하면 됩니다. 주로 아래 네가지 항목이 되겠습니다.

① 금액

- 작성하는 현금보관증에 해당하는 정확한 금액을 적습니다.

② 날짜 및 수령 확인

- ①에 적은 금액을 수령한 날짜 및 증서를 작성한 날짜를 기입합니다.

③ 보관사유

- 현금을 보관하게 된 사유를 씁니다.

④ 보관자 확인

- 현금을 보관하는 보관자의 인적 사항을 기입합니다.

- 현금보관증은 채무자의 자필로 이름을 기재하고, 오른손 무인(엄지)을 찍거나 인감도장을 날인한 후, 인감증명서를 첨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서명이나 직인, 무인이 없을 경우에도, 그 채무자가 위조되었다고 주장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현금 보관증을 작성 후 도장을 찍도록 합니다.

위와 같이 현금보관증을 작성하였더라도 때에따라 공증 등 추가 절차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금액이 클 경우 변호사 등 책임있는 법률서비스 제공자에게 문의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그리고 개인적인 경험상 법률구조공단은 일반적인 조언 그 이상은 기대하기 힘든 듯 합니다.

현금보관증 양식

아래는 여러가지 현금보관증 작성 사례입니다. 현금보관증 자체는 양식이 간단한 편이므로, 이와같은 여러가지 예시 사례를 참고하시는 편이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

현금보관증

현금보관증 사례1

현금보관증

현금보관증 사례2

현금보관증

현금보관증 사례3

현금보관증

현금보관증 사례4

현금보관증

현금보관증 사례5

관련 글

[도움말] - 가압류 또는 강제집행을 할 재산을 찾는 방법